 
								[ 자유민주당 강남 사거리 현수막 ] 현대차 정의선 회장, 고 정주영 회장의 창업정신이 간첩 카르텔 민노총과의 유착에 소비자 봉잡기인가? ▲ (가로10mX세로 4m)1개+(가로9mX세로 4m)1개 ▲ (가로8mX세로4m)1개+(가로7.3mX세로3.2m)1개 ▲ (가로 8m X 세로 4m) 2개 ▲ [서울 강남역 사거리 1,2번 출구 사이] ▲ [강남역 사거리 7,8번 출구 사이] ▲ [강남역 사거리 7번 출구 앞] ▲ [강남역 사거리 8번 출구 앞] ▲ [서울 강남역 사거리 7,8번 출구 사이] ▲ [강남역 사거리 삼성역 방향 테헤란로] ▲ [강남역 2번 출구 앞] ▲ [강남역 1번 출구 앞] ▲ [강남역 사거리 1,2번 출구 사이] ▲ [강남역 사거리 양재역 방향 강남대로] ▲ [강남사거리 반포터미널 방향 서초대로]
2023-07-17 18:34 
								 
								 
								(제주4.3사건의 진실을 담은 영화 - 제주도 출신 최초 목사 이도종 순교스토리)
2023-07-12 02:47 
								(인도태평양전략연구원 - 한국 근현대사 바로알기) (유투브 표지 / 썸네일) - 제목 : 이승만과 자유민주주의의 시작 (이승만과 한미동맹의 기원) - 제5강 조선을 묶고 있던 종의 멍에(4) / 여성천대와 우상숭배 - 기획제작 : 대한역사문화원 - 제작지원 : 인도태평양전략연구원, 글로벌디펜스뉴스 이 방송은 인도태평양전략연구원과 글로벌디펜스뉴스에 들어온 후원금으로 제작하였습니다. 다운로드 받아서 여러분의 유투브에 올리시고 교육용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2023-07-12 02:44 
								(인도태평양전략연구원 - 한국 근현대사 바로알기) (유투브 표지 -썸네일) - 제목 : 이승만과 자유민주주의의 시작 (이승만과 한미동맹의 기원) - 제4강 조선을 묶고 있던 종의 멍에(3) / 신분제도, 가난, 질병 - 기획제작 : 대한역사문화원 - 제작지원 : 인도태평양전략연구원, 글로벌디펜스뉴스 이 방송은 인도태평양전략연구원과 글로벌디펜스뉴스에 들어온 후원금으로 제작하였습니다. 다운로드 받아서 여러분의 유투브에 올리시고 교육용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풍선에 넣어서 북한에 보내셔도 됩니다.
2023-07-12 02:40 
								(인도태평양전략연구원 - 한국 근현대사 바로알기) (유투브 표지 -썸네일) - 기획제작 : 대한역사문화원 - 제작지원 : 인도태평양전략연구원, 글로벌디펜스뉴스 이 방송은 인도태평양전략연구원과 글로벌디펜스뉴스에 들어온 후원금으로 제작하였습니다. 다운로드 받아서 여러분의 유투브에 올리시고 교육용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북 풍선에 넣어서 북한에도 보내 주세요.
2023-07-12 02:36 
								< 인도태평양전략연구원 - 한국 근현대사 바로알기 > (유투브 표지 -썸네일) - 기획제작 : 대한역사문화원 - 제작지원 : 인도태평양전략연구원, 글로벌디펜스뉴스 이 방송은 인도태평양전략연구원과 글로벌디펜스뉴스에 들어온 후원금으로 제작하였습니다. 다운로드 받아서 여러분의 유투브에 올리시고 교육용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북 풍선에 넣어서 북한에도 보내 주세요.
2023-07-12 02:32 
								< 인도태평양전략연구원 - 한국 근현대사 바로알기 > (유투브 표지 -썸네일) - 기획제작 : 대한역사문화원 - 제작지원 : 인도태평양전략연구원, 글로벌디펜스뉴스 이 방송은 인도태평양전략연구원과 글로벌디펜스뉴스에 들어온 후원금으로 제작하였습니다. 다운로드 받아서 여러분의 유투브에 올리시고 교육용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북 풍선에 넣어서 북한에도 보내 주세요.
2023-07-12 02:23 
								지난 6월 18일에 이뤄진 블링컨의 방중 분위기는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국 정책 기조가 친중 외교로 바뀐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들 정도로 화기애애했다. 과연 그럴까? 지난 4일 방글라데시에서 활동중인 지정학 전문가 브라이언 베를레틱은 이번 미 국무장관의 對中 유화 제스처는 또 하나의 미국의 기만적 대외 정책일 뿐이라고 일갈했다. 다음은 러시아 매체 [신동방전망]에 실린 그의 칼럼 전문이다. 중국의 부상을 "억제"하려는 미국의 끈질긴 노력, 특히 대만 섬에 대한 미국의 간섭 때문에 벌어진 미중간 격화된 긴장 고조 이후,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소위 <너덜너덜해진 미중 관계>를 바로잡기 위해 베이징을 방문했다. 이 과정에서 블링컨 장관이 미국은 대만 독립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천명함으로써 미국의 <하나의 중국(One China)>정책 지지 입장을 공개적으로 낭독하기도 했다. 그러나 블링컨 장관은 대만에 대한 중국의 주권을 인정하면서도, 일방적인 대만관계법에 입각해서 "대만이 스스로를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만들" 미국의 "책임"을 거듭 강조했다. 말인즉슨, 중국이 승인을 하든 말든 대만에 무기를 팔아넘겨 중국의 주권을 짓밟
2023-07-11 16:50 
								한·미·일 3국 군사 동맹을 주축으로 한 아시안 나토의 결성이 왜 지지부진하게 됐는지에 관해 재미있는 분석이 지난 5일 러시아의 독립매체 [신동방전망]에 게재됐다. "아시안 나토: 워싱턴의 또 다른 실패한 계획 (Asian NATO: another failed plan by Washington)"이라는 제목의 이 칼럼은 <미국의 헤게모니가 더 이상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작동하지 않는다>고 역설한다. 자세한 내용을 들어보자. 미국 주도의 NATO 군사 동맹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 확대될 계획이라는 세계 언론 보도가 늘고 있다. 이 계획이 소개된 것은 2021년 10월 27일 바이든 미 대통령이 동아시아 정상 회의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면서다: "우리는 개방적이고, 상호 연결되어, 번영하고 있으며, 탄력적이며, 안전한 인도-태평양 지역을 구상 중으로, 이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분 각자와 협력할 준비가 되어 있다." 백악관은 이후 2022년 2월 11일에 나온 [미국의 인도 태평양 전략] 보고서에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리더십]을 재구축하려는 바이든 대통령의 전략을 요약했다.  이중 <중국과의 경쟁>이라는 '시급한(urgent)'
2023-07-10 22:52 
								레고랜드 사태로 온 나라가 시끄럽다. 레고랜드의 투자사는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사모펀드사인 블랙록(BlackRock)이다. 이 블랙록이 최근 파산 신청을 했다가 말았다가, 하루에도 수십건의 관련 기사가 쏟아지지만 정확한 내용은 쉽게 파악하기 어렵다. 특히 국내에는 블랙록과 레고랜드 간 관련성 조차 소개되지 않고 있다. 블랙록에 대해 좀 알아봐야겠다. 지난 2018년 미국 플로리다 지역 매체인 Ocala StarBanner에서 소개한 이 음험한 회사에 대해 살펴보자.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0여년간 대규모 자산관리자들이 생겨났다. 아마도 현재 전 세계에서 블랙록보다 금융시장과 정부에 더 큰 영향력과 지배력을 가진 회사는 없을 것이다. 정치평론가들은 헤지펀드와 사모펀드에 대한 공격에 나섰지만 블랙록만 해도 모든 사모펀드와 헤지펀드를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자산을 통제하고 있다. 이 회사는 미국 상장 대기업의 절반 이상을 최소 5% 이상 소유하고 있다. 이 엄청난 의결권은 종종 주주 싸움에서 경영진 측에 이점을 주었다. 때문에 산업계 전반에 걸쳐 이 회사와의 공동 소유에 대한 의혹이 제기됐다. 블랙록은 미국 6대 은행의 최대 또는 2대 주주이다. 다른 업계에서도
2023-07-10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