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0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9.7℃
  • 구름많음강릉 22.6℃
  • 구름많음서울 20.4℃
  • 맑음대전 21.5℃
  • 맑음대구 23.2℃
  • 맑음울산 22.2℃
  • 맑음광주 21.9℃
  • 맑음부산 20.5℃
  • 맑음고창 21.5℃
  • 맑음제주 26.2℃
  • 구름많음강화 19.5℃
  • 맑음보은 21.3℃
  • 맑음금산 22.2℃
  • 맑음강진군 21.6℃
  • 맑음경주시 23.6℃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배너

한미연합 군사훈련의 역사적 유래

대한민국의 경제기적, 한미연합사로 인한 국방예산 절감에 큰 공헌




한미연합훈련이라고 하면 대표적으로 떠오르는것이 팀 스피리트훈련이고 그 다음이 2007년까지 시행된 한미연합훈련은 RSOI훈련이었다. 2008년부터 현재까지는 KEY-REWSOLVE라는 이름으로 한미연합훈련이 이어지고 있다. 한미연합훈련은 시기별로 이름을 달리하였다. 

 최초의 대규모 한미연합 기동훈련은 1969년 FOCUS RETINA훈련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현재도 많은 이들이 기억하고 있는 TEAM SPIRIT훈련은 당시 자유진영의 동계 기동훈련 중에서도 가장 큰 규모였다. 그러나  군사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조차  한미연합 최초 기동훈련인 FOCUS-RETINA훈련에 대해서는 모르는 이들이 적지 않다.  그래서 내년 한미연합사해체를 바로 앞두고 어쩌면 한미연합사 주최의 마지막 연합훈련인 2014년  KEY RESOLVE 훈련에 즈음하여  한미연합훈련의 역사와 전개과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1. FOCUS RETINA 훈련
 
 1969년 3월 17일 여주 인근에서 최초의 한미연합 훈련인 FOCUS RETINA훈련이 개시되었다. 1969년의 3월은 한반도에선 한국전쟁 다음으로 가장 긴장된 시기가 계속되고 있었다. 1968년 1월21일 김신조의 북괴 124 특수부대의 청와대 기습사건과 같은 해 울진 삼척지구 무장공비 침투사건은 당시 우리의 안보환경을 단적으로 알려주는 그런 사건이었다.  

이런 일련의 사태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한국에 대한 경제 및 군사지원은 오히려 줄었다. 1969년 제37대 미국 대통령에 닉슨이 당선되었다.  그의 대(對)아시아 정책은 강력한 반공노선에서 한발 뒤로 물러 서는 듯 했다. 이런 태도는 결국  닉슨독트린으로 표출되었다. 미국의 아시아 정책은 일대 변환을 맞았다.  이를 감지한 박정희 대통령은 닉슨 행정부의 태도에 대해 의심을 하게 되었으며 박대통령은 미국에 대해서 방위공약 실천을 행동으로 보여줄 것을 강력히 요구하였다. 







주한미군을 월남전(戰)으로 돌리려는 닉슨 행정부에 대해 박대통령의 강력한 대한방위공약 실천요구의  결과로 69년 3월에 한미연합훈련이 시작되었다. 그것이 바로 FOCUS RETINA 훈련이었다.  이 훈련의 핵심은 한미 양국이 공동으로 방위체제를 점검하고 신속한 기동력과 막강한 전력(戰力)을 북한에 보여줌으로서 북한의 오판(誤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었다.  이 시기는 월남전이 한창이던 시기였다. 주한미군 일부는 월남전으로 착출되었다. 그 만큼 전력의 공백(空白)이 생겼다.  군사력 면에서   북한은 한국보다 월등한 시기였다.  


 한국의 불안을 달래기 위해서 처음에는 1968년 11월에 최초의 한미연합기동훈련을 실시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프에블로호 납치 사건이 발생하였다. 미국은 북한과 프에블로호 선원 송환 협상 문제로 인해 69년 3월로 훈련이 연기되었다.  이 당시 북한의 대남(對南) 군사적 목표는 속도전(速度戰)이라는 이름하에 전면남침(全面南侵)을 통해서 미국이 참전할 시간조차 주지 않고 순식간에 서울을 점령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짧게는 보름, 길게는 한달 사이에 전쟁을 종결짓는다는 북한의 군사적 목표였다.  한미 양군(兩軍)은 북한의 이런 의도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가장 큰 과제였다.







북한의 오판을 방지하기 위해 한미 양국이 마련한 연합훈련의  결과물이 1969년 3월에 실시된 FOCUS RETINA훈련이었다. 북한이 기습남침(奇襲南侵) 하더라도 美본토에서 긴급히 증원군이 파병될 수 있슴을 보여주는 것이 목표였다. 이런 계획이 가능한 것은 병력수송에 대형수송기인 C141이 투입될 수 있기에 가능하였다.   

구체적으로는 美본토 82공정사단의 기지에서  한국까지 1만3600㎞를 불과 30여 시간에 비행하여 완전무장한 병력 2,500여명을 작전지역에 투입하는 사상 사상 최장(最長)의 공수훈련이 FOCUS RETINA 훈련의 핵심이었다. 이 작전의 기본골격은 지금까지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실제로 당시 미(美)최정예 부대인 82공정사단이 이 훈련에 투입되었고, 한국은 공수특전단장  정병주(鄭炳宙)준장을 선두로 한 600명의 공수단이 여주 남한강 일대에서 일제히 낙하했다.




 
이 장면을 박정희 대통령과 당시 주한미군사령관이자 유엔군사령관 찰스 H 본스틸 대장이  이 광경을 단상에서 함게 지켜 보았다. 이 훈련에 동원된 병력은 7000여 명에 달했으며 2,700대의 차량과 2,900t의 장비가 투입됐다.  그러나  훈련이 있은지 5개월 후인 1969년 7월  닉슨독트린이 발표되었다. 


닉슨독트린[ Nixon Doctrine ]

 

미국의 제 37대 대통령에 당선된 닉슨은 괌(GUAM)에서 대 아시아 정책을 발표하였다. 닉슨은 1969725일 괌(Guam)에서 그의 새로운 대아시아정책인 닉슨독트린을 발표하고, 19702월 국회에 보낸 외교교서를 통하여 닉슨독트린을 세계에 선포하였다. 괌 독트린(Guam Doctrine)이라고도 불리는 미국의 신()아시아 정책은 한국의 안보환경에 직접적 영향을 주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미국은 앞으로 베트남전쟁과 같은 군사적 개입을 피한다.

미국은 아시아 제국(諸國)과의 조약상 약속을 지키지만, 강대국의 핵에 의한 위협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내란이나 침략에 대하여 아시아 각국이 스스로 협력하여 그에 대처하여야 할 것이다.

미국은 태평양 국가로서 그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계속하지만 직접적 ·군사적인 또는 정치적인 과잉개입은 하지 않으며 자조(自助)의 의사를 가진 아시아 제국의 자주적 행동을 측면 지원한다.

아시아 제국에 대한 원조는 경제중심으로 바꾸며 다수국간 방식을 강화하여 미국의 과중한 부담을 피한다.

아시아 제국이 510년의 장래에는 상호안전보장을 위한 군사기구를 만들기를 기대한다.


 

2. FREEDOM BOLT
 
포커스 레티나 훈련은 71년도에 이름이 바뀌었다. 71년에 미국은 닉슨독트린의 일환으로 한국에 주둔하고 있던 미7사단을 월남전에 투입시키는 결정을 내렸다. 닉슨행정부에 대한 박정희대통령의 불신은 깊어만 갔다. 결국 미국은 주한미군 7사단이 한국에서 철수한다고 하더라도 한국안보에는 전혀 영향이 없다는 것을 보여줄 필요가 있었다. 

 FREEDOM BOLT로 명명(命名)된 한미연합훈련은  주한미군 7사단을 철수시키는 정책에 대한 한국정부의 불만을 달래려는 의미와 함께 미 7사단 철수에 따른 북한의 군사적 도발에 대한 사전 경고의 의미도 있었다. 그래서 이름자체도 한미 양쪽을  강하게 연결하는 BOLT개념이 들어간 <FREEDOM BOLT>라고 이름이 지어졌다.




 

그러나 이 훈련의 이면에는 미7사단의 철수라는 것이 자리잡고 있었다. 그러나 돌이킬 수 없는 상황에 대해서 박대통령은 미국을 강하게 압박하여 7사단이 사용하던 잉여장비, 특히 M48 탱크 등은 한국에 그대로 남겨두고 떠나게끔 하였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박대통령은 자주국방이라는 의지를 굳히고 본격적인 무기개발에 착수 하게 되었다. 여기서 대규모 한미연합훈련의 의미속엔 북한에 대한 경고메시지가 이외에도 내면적으로는 신속기동능력이 있는 미군이란 점을 내세워서 주한미군 감축의 구실로도 이용되었다.
 
이런 사례는 독일에서도 있었는데, 63년 10월 서독에서 1만8000명의 병력이 참가한 빅 리프트 공수 훈련이 있은 직후 서독에서 미군 1개사단이 감축되었다.
.

3. 팀 스피리트 훈련
 
닉슨독트린으로 말미암아 주한미군은 약 7,000여명 감축되었고 박정희 대통령의 자주국방(自主國防)의 기치아래 무기개발과 한국군 현대화 작업은 가속화 되었다. 70년대 한국의 군사력은 전체적으로는 북한보다 열세(劣勢)의 상황이었다. 이 당시 한국군의 지휘관의 상당수는  월남전에서 실전(實戰) 경험이 있었다. 정부의 정책도 국가안보가 최우선적이었다. 1975년 4월 30일 월남의 패망은 전 국민에게 안보(安保)가 생명이라는 인식을 심어주기에 이르렀다.





  
그러다가 76년 미국에서 카터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또 한번 일대 전환기를 맞았다. 그는 주한미군 철수를 대선공약으로 내세웠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주한미군 철수정책은 완전히 왕따 취급받았고 실제적으로도 약 1200여명 철수에 그쳤다.  이런 카터의 주한미군 철수 정책 때문에 또다시 한미연합훈련의 이름이 바뀌었다. 

그것이 바로 팀스피리트 훈련이다. 미군이 철수하더라도 한국에 대한 미국의 지원(支援) 의지는 변함이 없다는 의미였다. 결국 카터대통령의 주한미군철수 공약은 실패로 끝났다.  미국의 대통령 선거에서 강력한 미국을 표방하는  레이건이 카터를 누루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레이건 행정부는 카터행정부와는 반대로 주한미군을 증강시켰다. 이와 더불어 한미연합훈련은 더욱 강화되었다.  팀스피리트 훈련은 한미 양군(兩軍) 약 20만명이 동원되는 아시아 최대의 군사 기동훈련으로 부상하였다.
 
개인적으로는 한미 양군이  전술적 차원에서 가장 근접했던 때가 80년대가 아닌가  생각한다. 그 때까지만 해도 한국군에겐 월남전 실전경험 지휘관과 더불어서 대(對)간첩작전으로 생긴 노하우가 축적되어 있었기 때문에 장비나 기술적으로는 미군에 비해 열세지만 군지휘 기동전술등 세부분야에선 서로의 노하우를 주고받는 명실상부한 동맹군(同盟軍)으로서의 위치를 차지했다.

또한 80년대는 86, 88 아시안게임과 올림픽준비로서 미국의 한국 중시(重視)정책은 그 어느때 보다 높았다. 레이건-대처-나카소네-전두환의 자유진영 지도자의 연결 라인은 2차대전당시 루즈벨트-처칠-드골로 연결된 자유진영 라인 다음으로 그 연결성이 굳건했다고 해도 過言은 아닐 것이다.




 




팀스피리트 훈련기간 동안 북한 역시 전국 비상령이 발동되어서 군단급 기동훈련이 벌어졌다. 이것은 북한 경제에 악영향을 미쳤고 결국 94년 김일성이 죽기직전 김영상대통령의 방문을 수락한기에 이르렀다. 한국에서의 팀스피리트 훈련과 서독에서의 나토 기동훈련과 미국의 스타워즈계획은 결과적으로 구 소련이 몰락하게 된 연결고리 역할까지 하게 되었다.

팀스피리트 훈련과정에서 한국군은 미군의 신개념 전술과 신형무기를 접하게 된 계기가 되었고 미군 역시 월남전 패배의 충격에서 벗어나 현재와 같은 미군의 모습을 갖추게 되는 준비를 하게 된 계기가 팀스피리트 훈련이었다. 

80년대 팀스피리트 훈련때 까지만 하더라도 한미양군의 상호보완적 훈련이 가능하였으나 93년 팀스피리트 훈련이 중단되고 92년 걸프전과 2003년 이라크전을 치루면서 완전히 차원이 다른 미군이 된 현재 한미 양군의 합동훈련은 그 차이가 워낙 크게 벌어지고 말았다.

현재 C4I체제가 확립되고 실전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는 미군과 아직 준비단계의 한국군이 발맞추어 합동훈련을 한다는 것은 다분히 보여주기 위함이 더 크다 하겠다.
 
 
4. 팀스피리트 훈련 중단과 RSOI훈련 개시
 
   RSOI(Reception, Staging, Onward Movement, and Integration)

한.미합동군사훈련인 전시증원연습(RSOI)은 한반도 유사시 전개될 미군증원 전력의 이동과한국군의 지원 절차 등을 익히는 연례 연습이다. 그러나 이 훈련은 93년 김영상정권에서 중단되고 말았다. 이 팀스피리트 중단 배경엔 북한 핵위기라는 것이 도사리고 있었다. 칼루치가 대북특사로서 북한과 핵동결 협상을 할때 북한의 요구중에 하나가 팀스피리트 중단이었고 그것을 한미양국은 받아 들였다. 그러나 그 이후 북한은 그 약속을 지키지 않고 2006년 2차 핵위기를 초래했다.
 
결과적으로는 한미양군의 팀스피리트 훈련만 없어지게 된 셈이었다. 이전에는 북한과 한국내 반미단체의 주장은 팀스피리트 중단이었는데, 이것을 달성한 이후부터는 본격적으로 주한미군철수 주장을 표면에 내세우기 시작했다.
 

5. 럼스펠트 독트린과 주한미군 감축
 
부시2기 행정부와 노무현정권의 불협화음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때마침 럼스펠트 독트린으로 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이 대두되는 과정에서 노무현 행정부내 반미자주파의 득세는 아주 손쉽게 미군이 한국에서 빠져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2006년이후 12,500명의 주한미군 철수는 7사단 철수이후 가장 대규모이다.





      
6. 전작권 전환과 KEY RESOLVE
 
노무현 정권이 미국과 협의한 전작권전환은 한미연합사 해체를 합의하였다. 한미연합사의 전력이 어느만큼 큰지를 안다면 그렇게 쉽게 할 사항이 아닌데 아무튼 그렇게 결정이 되고 말았다. 그 전작권전환 협상이 이루어 진후 한미연합 훈련의 이름이 또한번 바뀐 것이 올해 진행되고  있는 KEY RESOLVE 훈련이다. 이름 그대로 [결심의 열쇄]라는 의미에서도 그 뜻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한미연합훈련의 지나온 역사를 서술해 보았다. 노무현정권에서  2012년에 한미연합사해체를 결정하였다.  노무현정권이 대한민국에 박은 대못 중에 가장 큰 대못이 한미연합사 해체에 도장을 찍은 것이다.  해체 시기를 3년 연장하여 2015년으로 연기되었다. 바로 내년이면  한미연합사는 해체된다. 어쩌면 대규모 한미연합기동훈련은 올해가 마직막일지 모른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정치/국방


이춘근의 국제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