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와 터키 정부는 인도네시아 육군용 중형 전차를 공동 개발·생산하기 위한 양해각서를11월 7일 자카르타에서 개최된 국제 방산전시회 IndoDefence 2014에서 체결하였다. 인도네시아 국영 PT Pindad사와 터키 FNS Defence Systems사가 2014년 작업에 착수하여 설계·개발단계를 거친 후 2017년까지 터키와 인도네시아에서 시제전차를 각 한 대씩 제작할 예정이다.PT Pindad사가인도네시아 육군 요구조건에 따라 생산착수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PT Pindad사는 인도네시아 육군용 4×4 및 6×6 장갑차를 제작했지만, 궤도형 장갑차 시장에는 진출하지 않았다.규격은 인도네시아 육군이 결정할 예정이지만, 중형 전차의 중량은 20~40톤으로 예측되며90~105mm 강선포로 무장한 포탑이 탑재와 7.62mm 동축 기관총 및 컴퓨터화한 사격통제체계를장착할 것으로 예상된다.CMI사와 포 제작 협력을, Rheinmetal사와 탄 개발역량 강화를 협력할 예정이다.인도네시아 정부는 전차 등 다수의 군사기술 개발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으며, 업체들은 외국 원 장비 제작업체들과 협력하면서 관련기술 획득 기회를 모색할것으로 예상된다.
2014-11-26 00:09브라질 공군은 차기 전투기로 선정된 Sab사의 Gripen NG 다목적 전투기 최종 획득수량이 108대로확정되었다고 발표하다. 앞서 지난 10월, 58억 달러 규모의 Gripen 전투기 첫 번째 배치 물량인 36대공급계약을 체결하였다. 단좌형과 복좌형의 비율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새로 도입되는 Gripen 전투기는 이미 도태된 Dasault Mirage 200C 전투기와 현재 운용 중인Northrop사의 F-5EM과 Alenia/Embraer A-1M 전투기를 단계적으로 대체해 나갈 계획이다.첫 배치 물량인 36대 중 15대는 브라질에서 제작되고, 나머지 21대는 브라질과 스웨덴 기술자들에 의해 제작될 예정이다.2008년에 자국 방산업체 보호를 위해 발표된 규정에 근거하여 항공기 기체 계약건의80%는 국내업체가 계약해야 한다.브라질 공군의 Gripen 전투기에 탑재될 A-Darter 공대공 미사일은 다음주 최종 인증시험을 거칠 예정이며, 브라질산 Mectron MAR-1 공대지· 공대공 대방사(Anti-Radiation)미사일도 탑재될 예정이다.
2014-11-25 00:3711월 11~16일 개최된 2014 중국 주하이 에어쇼에서 NORINCO사가 8×8 병력수송장갑차 VN1 차대에기반을 둔 신형 구축전차 ST1을 공개하였다. VN1은 2008년 NORINCO사가 판매를 시작하여, 2009년 국제방산전시회 IDEX 중 처음으로 일반공개 하였다.ST1 구축전차는 NATO 표준 105mm 전차포로 무장한 2인용 포탑을 탑재하였다. 전차포는 날개안정철갑탄, 고폭탄 등의 모든 탄과 포발사 미사일(Gun-launched Misile) 발사가 가능하다.7.62mm 동축기관총이 주포 우측, 12.7mm 기관총 1정이 대공방어용으로 포탑 상부 우측, 연막탄 발사기3개씩이 포탑 양쪽에 탑재되어 있다.기동 또는 정지표적에 대해 주야간 사격을 하기 위해 열영상을이용하는 최신 기술의 안정화된 사격체계를 탑재하고 있다.
2014-11-25 00:25Trust Automation사가 록히드마틴사와 AN/TPQ-53 대포병 레이더체계에 대한 동작제어체계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동작제어체계는 레이더 탑재 차량에 대한 수평을 자동적으로 유지한다.록히드마틴사가 제작한 AN/TPQ-53 체계는 신속반응능력을 가진 이동식 레이더 체계로서, 박격포· 야포·로켓체계로부터 발사되어 비행 중인 포탄을 90° 또는 연속 360° 섹터 탐색하여 탐지·분류·추적할수 있도록 설계되었다.기존 AN/TPQ-36 레이더체계와 비교하여 운용적·물리적 기능이 향상되었으며,위협발사체계의 표적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전장 탐지와 대포병 사격이 가능하다.신속배치가 가능하고 노트북 컴퓨터나 지휘차량을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종전에 EQ-36 레이더로 명명되었던 AN/TPQ-53 레이더는 미육군이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전투 기간 중 운용하였다.
2014-11-25 00:08호주 노드롭그루먼사는 호주 캔버라에서 개최된 군 통신·정보체계 컨퍼런스 기간 중 신형 보안통신체계(SCS: Secure Communications Systems) 제품을 공개하였다.SCS-40으로 불리는 이 제품은 ‘보안지상이동통신플랫폼(SCMP-L :Secure Communications Mobile Platforms – Land)’ 사업을 위해 호주 육군과 체결한계약하에 개발되었다.SCS-40 체계는 모듈당 무게가 15kg이고, 야전에 배치할 수 있는 체계로서 상용 연결수단을 사용하여 야전 병사들이 본부와 안전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상용 연결수단에는 3G/4G, 광대역 글로벌네트워크(BGan), Ethernet 또는 WiFi뿐만 아니라 외부 위성까지도 포함된다.평문에서 고급 비밀에 이르기까지 네트워크에 동시에 원격 접속 가능하다.음성 통신 제공 외에도 원격 구성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식 인터페이스를채택함으로써 안전한 이메일 운용이 가능하다. 또,다양한 사이버 보안 대책을 내장하고 있어 악성 활동이나 비인가 접속을실시간 탐지할 수 있다.
2014-11-25 00:01미 국무부는 예상 비용 9,700만 달러에 이르는 첨단정밀타격무기체계(APKWS :Advanced Precision Kil Weapon System)와 관련장비, 부품 및군수지원을 대외군사판매(FMS) 방식으로 이라크에 제공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이러한 사실을 미 의회에 통보하였다고 밝혔다.이라크 정부는 최대 2,000발의 APKWS, 시험지원 장비, 교체·수리부품, 발간물 및 기술문서, 인원훈련 및훈련장비, 운송, 미 정부 및 계약업체의 엔지니어링, 기술 및 군수지원서비스 등 군수 및 사업지원을 요청하였다.미국은 금번 제안된 판매를 통해 전략적 파트너 국가의 안보상황을 개선함으로써 외교정책과 국가안보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이라크 정부를 직접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이라크 및 미국 양국 국민의 이익에 도움이되고, 이라크의 작전수행 능력 개선 및 국토방위 능력 강화에 일조할 전망이다.주 계약업체는 BAE시스템사가 될 예정으로 금번 계약과 관련하여 제안된 절충교역 내용은 알려진 것이 없으며, 본 판매계약을 위해 미정부와 계약업체 인원들은 약 3년간 사업관리, 사업 및 기술검토, 훈련, 유지보수 지원 및 현장조사를 위해 파견하게 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4-11-24 00:35중국 항공우주 과학·기술공사(CASIC :China Aerospace Science Industry Corporation) 가 2014년 중국 주하이 에어쇼에서 최신 개인휴대형 대공방어체계(MANPADS : MAN-Portable Air-Defense System)를 공개하였다. 현재 이 체계는 개발이 진행 중이며, 운용가능 시점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QW-19 체계는 이전의 QW-18 체계와 달리 설계 측면에서 디지털 탐색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디지털 기술은 다른 모델과 비교하여 높은 항(抗)재밍 능력을 갖추고 있다.적외선(IR) 탐색기는 표적 획득과 조준에 있어 보다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는 신형의 듀얼 밴드 영상 탐색기이다.QW-19는 순항미사일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러시아의 KBM lgla-S와 유사하게 정면요격이 가능하며, 발사 후 소모성 발사 모듈이 발사관에 남아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이전 모델이 비해 운용자 보호를 위한 성능이 향상되었다. 이전 모델은 소모성 발사 모듈이 발사기로부터 미사일이 발사되는 순간 분리되어병사들에 위험 요소가 되었다.
2014-11-24 00:29호주는 현재 운용 중인 콜린스급 잠수함을 대체하는 차세대 잠수함에 일본이 개발 중인 리튬전지 추진기술을 적용하길 강력히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호주는 2030년대 중반까지 잠수함 12척을 확보하는 34억 달러 규모의 차세대 잠수함 사업을 추진중이며, 현재 일본의 소류급 잠수함을 선정하는 것으로 기울어져 있다.일본은 미래 잠수함 추진시스템으로 주목받을 리튬전지추진기술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선도적 위치에있으며, 2010년대 말까지 차기 소류급 잠수함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리튬전지 추진 잠수함은 기존 공기불요시스템(AIP :Air Independent Propulsion)을 탑재한 디젤-전기추진 잠수함에 비해 더 오랜시간 잠항이 가능하며, 연료 재공급을 위하여 기지로 회귀할 필요 없이 해상에서 충전을 하는 미래형첨단 잠수함이다.소류급 잠수함의 경우 AIP를 탑재하면 가격이 척당 5억 달러이지만 리튬이온추진 잠수함은 6억 달러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있다.
2014-11-24 00:21NORINCO사는 2014년 중국 주하이 에어쇼(11.11.~11.16.)에서 6×6 병력수송장갑차 WMZ51의 현대화된 최신 버전 6×6 보병전투 장갑차 VN2를 최초 공개하였다. VN2는 병력수송형·지휘형·구난형·앰뷸런스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VN2는 기동력 증대를 위해 신형 300kW 엔진으로 구동된다. 전시된 장갑차는 30mm 주포가 탑재된 1인용 포탑을 장착하고 주포 좌측에 7.62mm 동축기관총, 포탑전면 각 측면에 3개의 연막탄 발사기 를 탑재하고 있다.수중에서는 차체 후방 양쪽에 1개씩 설치된 2개의 프로펠러에의해 추진되며, 도하 시 차체 앞에 장착된 파도막이(trim vane)를 수동 가설할 수 있다.후방 탑승병력실 동체 각 측면에 총안구 2개와 비전 블록(visionblock)을 1개씩 설치, 전면의 차량장과 운전병용 창문은 전투중 장갑 해치 커버로 차단이 가능하다.
2014-11-24 00:14미 육군이 효용성 평가를 목적으로 이스라엘로부터 Iron Dome 로켓 대응 포대를 구매하였다. 이번 구매는 이라크 및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부대를 위해 Iron Dome이 획득할 가치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이스라엘은 Iron Dome 체계의 로켓 격추율이 85%라고 주장하고 있다.Iron Dome체계 운용의 핵심은 소프트웨어이다. Iron Dome은 레이더를 사용하여 접근하는 로켓의 궤적을 신속히 계산하여, 비거주 지역으로 지향하는 로켓은 무시하고, 주민 거주지역으로 접근하는 로켓만을 요격한다.레이더로 1초 이내에 표적을 획득하여, 1초 이내에 발사가 가능하다.Iron Dome 포대는 레이더, 사격통제장비, 발사대(3~4대)로구성되어 있으며, 각 발사대는 미사일 20발을 보유한다. 포대 구입비용은 5,000만 달러(Tamir 미사일 100발 포함)이며, Tamir 미사일 1발 가격은 현재 90,000달러이나 양산할 경우50,000달러 이하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Tamir 미사일은 길이 3m, 직경 160mm이며, 최대사거리는 40km이다.
2014-11-24 00:08Haris사가 캐나다 군에게 Falcon I ® 전술무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계약을 체결하였다. Haris사는 AN/PRC-152A 광대역 휴대용 무전기, AN/PRC-17G 광대역 맨팩 무전기, RF-780H 고주파맨팩 무전기 등 전술무선체계를 제공하여 군 통신 현대화사업을 지원하게 된다.Haris사 대표는 “본 무선체계가 캐나다 군에게 더욱 양호한 상황인식 능력을 제공하고 전장에서 임무수행에 중요한 실시간 정보에 대한 소요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Haris사의 Falcon I 전술무전기 특징은 아래와 같다.미래 현대화사업 지원을 위한 강화된 보안능력의 전술무전기체계,장거리 가시선 초월(BLOS : Beyond Line of Sight) 환경을 포함 음성 및 고대역폭 데이터지원,스트리밍 비디오, 음성 및 데이터 동시 전송, 공동 대화, 보안네트워크 연결성을 지원해야 한다.
2014-11-24 00:02인도네시아는 2014 국제 방산전시회(IndoDefence)에서 PT Pindad사 및 군 연구개발조직이 공동으로 개발한 궤도형 미사일 발사장치 개념차량을 전시하였으며, MBDA사의 발사장치와 결합된 이궤도형 차량은 인도네시아의 자체 이동식 방공능력을 개발능력을 보여주고 있다.이 차량은 PT Pindad사가 개발한 다목적 포병 및 방공체계로서 첫 번째 궤도형 경(輕)병력수송 장갑차(APC: Armoured Personel Carier)이며, 출력 250마력의 수랭식 6기통 디젤엔진을 탑재하고 있다.인도네시아 육군은 최소한 본 체계 56대에 대한 소요를 가지고 있고, 군 및 경찰용으로 최소한Komodo 차량 240대가 제작될 것이라고 한다. 이 체계는 열상조준경 및 피아식별장치(IF : Identifcation Friend or Foe)를 이용하여 독자적으로 운용되거나, 사격통제·협조체계에 통합되어 운용될 수 있다.
2014-11-21 1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