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는 현재 운용하고 있는 F/A-18C 전투기 50대와 F/A-18D 70대를 대체할 약 76억 달러 규모의새로운 전투기사업 검토에 착수한다. 사업팀은 차기 전투기로 선정될 가능성이 있는 전투기들에 대한유지비용 등 비용분석과 성능 등의 기술검토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와 병행하여 1995년에 획득한 기존전투기들에 대한 성능개량을 통해 2030년 이후까지의 운용가능성도 포함하여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기종결정에 대한 최종 검토 보고서는 2015년 중반까지 마칠 예정이며, 최종 기종결정은 2020년대초반에, 그리고 배치는 기존 전투기들이 퇴역하는 2025년에서 2030년 사이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핀란드의 기종선정 과정에서 2017년에 생산이 중단될 예정인 보잉사의 Super Hornet은 제외될 가능성이 있으며, 금년 4월 핀란드 국방부장관은 획득가격 측면에서는 미 록히드마틴의 F-35 JSF 전투기와스웨덴 Sab사의 Gripen-E 전투기가 경쟁이 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2014-10-26 18:25미 육군협회 주관 방산전시회에서 ATK사가 기존 재래식 155mm 고폭탄 또는 120mm 박격포탄을 GPS유도 정밀무기로 변환시킬 수 있는 정밀유도키트 (PGK : Precision Guidance Kit)를 소개하였다.ATK사의 정밀유도키트는 기존의 155mm 고폭탄을 GPS 유도 정밀무기로 변환시켜 기동부대에게 즉각적으로 모든 기상조건에서 유기적이며, 정밀하고, 즉각적인 대응능력을 제공한다.이 체계는 원형공산오차(CEP :Circular Eror Probabilty)가 50m 미만으로서 재래식 포탄과 스마트 탄약간의 간격을 효과적으로 메워주며, 비용이 적고, 고도의 신뢰성을 발휘하며, 신관크기의 유도키트가 탄두 신관에 잘 장착되는 장점이 있다.또한 ATK사의 155mm 포탄용 정밀유도키트에 기반은 둔 XM395 키트는 표준신관을 교체한 패키지에 GPS 유도 및 지향성 조종면을 결합하여 기존의120mm 박격포탄을 정밀 유도탄으로 변환시킨다.
2014-10-24 13:04워싱턴 D.C.에서 개최된 미 육군협회 주관 연례 방산전시회에서 레이시온사는 실물 크기의 소형전술탄STM (Small Tactical Muniton) Pyros 모델을 전시하였다.Pyros는 레이시온사가 무인항공체계용으로 특별히 설계한 크기가 가장 작은 공중발사 STM이며, 고도의 기동성을 갖추고 있다.STM Pyros는 무게가 13lbs, 길이가 55cm에 불과하여, 무인항공기·회전익 정찰기·경공격기 등과 같이무게가 중요한 플랫폼에 이상적으로 운용이 가능하다. STM Pyros의 첨단 탄두는 첨단 반능동 레이저 탐색기를 사용하여표적을 정밀하게 타격하고 부수적인 피해 위험을 감소시키며, 표적유도 방법은 GPS 좌표, 관성항법장치, 레이저 지시 등으로 운용한다.현재 레이시온사는 미 육군 및 해군과 함께 STM Pyros에 대한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2014-10-24 12:27인도 공군은 10월말 까지 구소련으로부터 구매하여 운용 중인 노후된 AN-32 수송기의 성능개량을위한 입찰을 마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인도 공군은 작년에 AN-32 수송기와 MiG29 전투기에 대한 성능개량사업을 위한 입찰을 시도했지만 오직 한 업체만이 응찰을 한 바 있다.성능개량은 정비창 시설을 이용하여 민간 기업이 수행하는 형태로 진행될 계획이다. 현재 AN-32기는 우크라이나에서만 생산하고 있으며 인도 공군은 10여 대 이상 보유하고 있다. 성능개량에는 공중충돌회피 시스템, 지상근접경보 시스템, 전파고도계, 위성항법시스템, 거리측정장비, 신형 산소공급 시스템 등을 새롭게 탑재하며, 승무원 좌석의 개선 등이 포함된다.AN-32는 구소련의 안토노프 설계국이 개발한 쌍발 중단거리수송기로서, AN-26의 파생형이며, 주로 고온 지역이나, 고산지대에서 운용된다. 동체는 AN-26과 비슷하지만 엔진 출력은 더 커서, 해발400~500m의 표준대기온도 보다 높은 활주로에서 이륙이 가능하다.
2014-10-16 22:14CMI Defence사가 캐나다 차량 제작업체에서 추진하는 군 사업에 대한 하청계약을 체결했음을 발표했다. 이계약은 Cockeril CT-CV 105 HP 및 Cockeril MC 중구경의 포탑체계를 공급하는 것이다.CMI Defence사는 이 계약을 통해 일련의 시뮬레이션 체계뿐만 아니라 지원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며, 구매 국가 및 계약 수량은 밝히지 않았다. Cockeril CT-CV 105HP 포탑은 매우 경량으로 높은 치명성을 제공하는 첨단 자동장전장치를 구비한105mm 고압 화포이며, 장거리 Falarick 105 포발사 대전차 유도미사일을 사격할 수 있고, 높은 화포고각 범위를 가지고 있어 매우 광범위한 작전능력 영역을 제공한다.Cockeril 중구경 무기체계는 25~50mm 구경의 중구경 화포로무장되어 있는 2인용 포탑체계로 프로그램화가 가능한 포탄을 포함한 2개 형태의 탄약을 사용할 수 있다.
2014-10-16 22:05호주 BAE사는 호주 해군에 공급할 두 척의 상륙함 중 선도함인 Nuship Canbera함을 인도하였으며호주 해군이 2015년 1월 중에 실전 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만재배수량이 27,000톤인 Canbera함은 지금까지 호주 해군이 보유한 함정 중 가장 큰 규모이며, 호주BAE사와 스페인의 Navantia사가 공동으로 건조하였다.또한 전장이 230.8m, 함폭 32m, 비행갑판 높이 27.5m, 만재 시 흘수가 7.08m이며 헬기, 상륙정, 차량및 1,000여명의 병력을 수용할 수 있음. 최대속력은 20kts이상이며 항속거리는 9,000해리이다.두 번째 상륙정인 Nuship Adelaide함은 2015년 해상시험을 앞두고 건조 중에 있다. 상륙함은 육군, 혹은 해병대 병력을 각종 장비 및 헬기 등과 함께 상시 승선시키고 원하는 지역에 배치하는 상륙수송함으로 유사 시 대규모 재난구조 임무도 수행할 수 있다.
2014-10-15 18:08인도가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는 니르바이(Nirbhay) 순항미사일을 Odisha의 Balasore 종합시험장에서 10월 17일에 발사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이는 DRDO(Defence Research and Development Organisation,인도 국방연구개발기구)에서 자체 개발한 무기의 2번째 발사 시험이다.전문가들은 지난 3월 니르바이 미사일 처녀비행은 여러 가지 임무 목적을 만족시켰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성공한것이라고는 하나, 사전에 지정된 표적 타격은 실패하였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실패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지난 번 미사일 발사의 실패원인은관성항법체계에서 발생한 glitch(전자회로 전압의 순간적인 상승) 으로 미사일의 전자회로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니르바이 미사일처럼 저고도로 비행하는 순항미사일은 레이더단면적(radar cros section)이 작기 때문에 쉽게 적의 방공체계를 회피할 수 있어 사전에 탐지하여 격추시키기가 매우 어려우며, 또 핵탄두를 탑재하기 때문에 적국에게는 치명적인 무기로 평가된다.즉, 인도가 10발을 발사했을 때 그중 한발 만이라도 요격에 실패한다면 핵탄두가 자신의 영토에 떨어질 수
2014-10-15 17:50인도의 HAL항공사는 인도 공군이 개발하고 있는 표준형 경전투기(LCA :Light Combat Aircraft) Tejas 최초 생산 계열 1호기가원격측정지원 없이 이륙 후 30여 분의 비행을 마치고 안전하게 착륙함으로써 최초 시험비행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발표하였다.HAL사는 “현재 LCA의 다른 계열 전투기들도 각각의 생산단계를 거치고 있다.”고 여러 종류의 계열전투기가 개발 및 생산 중인 것을 밝혔다.HAL사를 포함한 5개 회사로 구성된 컨소시엄과 인도 항공설계국이 공동으로 생산을 진행하고 있는Tejas 경전투기는 단좌형, 경량화, 고기동 및 초음속 전투기로 인도 공군의 노후된 MiG-21과 MiG-23전투기를 대체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LCA는 GE사의 F404-GE-IN20 터보팬 엔진을 장착하고 있으며무미익 델타형 날개에 각각 4개씩 총 8개의 무장장착점(hardpoint)이 설치되었으며, 공대공, 공대지 및 대함미사일과 정밀유도무기와 로켓 등을 탑재할 수 있다.이 전투기는 우리나라가 개발한 F/A-50 전투기와 성능이 유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향후 해외수출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자가 될 기종으로 손꼽힌다. 우리나라가 F/A-50으로 세계
2014-10-13 11:18태국 해군은 70년대에 구입한 노후된 Bel사의 212 헬기를 대체할 Airbus Helicopter사의 EC645 T2다목적중형헬기 5대를 2016년까지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계약금액은 7,700만 달러라고 밝혔다.태국 해군은 5대의 EC645 T2 중 3대를 중국에서 건조하여 2000년대 초에 인수한 Patani급 경비함 2척과 BAE시스템사가 건조하여 2013년에 취역한 개량형 River급 연안 경비함에 각각 배치할 계획이다.EC645 T2 다목적중형헬기는 20mm 포와 70mm 미사일 발사체를 탑재하고 있으며 경공격, 탐색 및구조, 의료후송, 해상 감시 및 정찰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태국 육군은 2013년에 EC645 헬기와 동일한 상용헬기인 EC145의설계를 기반으로 하는 6대의 UH-72A 다목적 경헬기 구매 계약을체결하여 2015년에 배치할 예정이며, 공군 역시 EC 725 탐색 및구조헬기 4대를 2015년까지 배치할 목적으로 구매하였으며 추가로6대를 더 구매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4-10-09 11:09인도네시아 국영조선소인 PT PAL사는 SIGMA 10514 유도탄호위함 2번함의 기공식을 가졌다고 밝혔다.SIGMA 10514 호위함은 PT PAL사와 네덜란드의 DCNS사가 공동으로 건조하는데, 각 사에서 분리 제작된 6개의 대형 블록들을 Surabaya에 위치한 PT PAL사에서 조립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인도네시아 해군총장은 “2척의 SIGMA 10514급 호위함 건조가 완료되면 추가 호위함에 대해서는 순수국내 기술로 건조할 계획이며 2024년까지 16척의 호위함을 보유할 것이다.” 라고 밝혔다. SIGMA급 호위함은 배수량 2,400톤, 전장 105m, 함폭 13.02m, 최대속력은 30kts이며 승조원은 기본100명에 20명을 추가로 수용할 수 있다.또한 TACTICOS 전투체계와 Rheinmetal Defence Milenium35mm 근접방어무기체계, SMART-S Mk 2 감시레이더, 12-cel수직발사 대공방어체계 등을 탑재하고 있으며 2척 모두 2017년에인도네시아 해군에 인도될 계획이다. 싱가포르 해군은 현재 전장 55m의Fearles급 함정 11척을 운용하고 있다.
2014-10-09 11:03보잉사는 해양 무인정 분야의 선도업체인 Liquid Robotics사와 대잠전과 해양상황인지 및 기타 해상방어를 위한 통합감시시스템 개발 협약서에 서명을 하였다고 밝혔다.보잉사의 Chadwick 대표는 “이번 사업은 보잉사의 정보·감시·정찰분야 기술과 Liquid Robotics사의해양로봇시스템 관련 기술이 융합되어 지금까지와는 전혀 새로운 차원의 고성능, 고효율 해양안전 및감시체계가 개발되어 전 세계 고객들에게 제공될 것이다”라고 사업 내용을 설명하였다.Liquid Robotics사가 개발한 ‘Wave Glider’는 파도를 이용한동력으로 작동되며 GPS, 내비게이션 소프트웨어 같은 많은 환경센서를 탑재하고 있는 무인해양정으로 해양감시, 허리케인과 태풍, 해일 등의 기후 예측 등에 활용되고 있다.Wave Glider는 풍속 초속 35m 이상의 강풍에도 견디면서 태풍에대한 실시간 기상데이터를 10분 간격으로 전송을 할 수 있다.
2014-10-09 10:50Haris사는 Falcon I RF- 340M 다채널 개인휴대형 무전기를 미 국방부에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계약에 따라 다중 네트워크를 동시에 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지휘통제 기능을 강화될 전망이다.Haris사의 George Helm 사장은 “이번 주문은 RF-340M 무전기에 대한 2번째 주문으로서 Haris사의 탑승 및 하차부대용 전술통신을 위한 차세대 2개 채널 솔루션에 대해 증가하고 있는 관심을 나타낸다.”라며,“RF-340M 무전기는 다수의 네트워크상에서 동시에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능력을 통해 전투수행원들의 상황인식 및 임무지휘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Haris사에 따르면, RF-340M 무전기는 오늘날 무전기 중 가장 작고 가벼우며, 성능이 좋은 차세대전술무전기로, 이동 사용자 위성통신체계(MUOS :Mobile User Objective System)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으며,탑승 및 하차 운용 시 크기·무게·전원문제를 최소화 하였다.
2014-10-07 15:25